한국의 美_PLACE
예술을 가까이, 갤러리 투어
그림 감상을 어렵게 생각하는 이가 많다. 작품이 내포한 상징적 의미를 찾고, 어떤 화풍인지 파악해야 한다는 부담 없이 그저 바라만 봐도 감탄이 나오거나 마음이 고요해지고, 요모조모 살펴보는 흥미가 있는 것만으로도 감상은 충분한다. 나들이하듯 가벼운 마음으로 갤러리를 둘러봐도 좋은 이유다.

뜻밖의 즐거움, 비트리 갤러리
젊은 세대가 자주 찾는 홍대 부근에도 현대미술 작가를 소개하는 갤러리가 있다. 그것도 홍익대학교 정문 바로 옆 홍문관 1층이라는 낯선 공간에 말이다. 비트리 갤러리는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오페라 갤러리 등에서 10년 넘게 큐레이터와 갤러리스트로 활동한 정유선 대표가 2019년 봄, 문을 열었다.
이름인 비트리(B-tree)의 ‘비'(B)는 ‘균형 잡힌'(Balanced)을 의미한다. 관객과 컬렉터를 연결하는 갤러리,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예술가, 지속적인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컬렉터, 셋이 균형을 이루겠다는 뜻이다. 갤러리에서 예술가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소개하면 컬렉터들은 더 다양한 작품을 접할 수 있고, 예술가들은 작품 활동에 동력을 얻을 수 있어 선순환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비트리 갤러리에서는 회화, 조각, 사진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 개관전<Balanced>에서는 이경미 작가의 회화, 이명호 작가의 사진, 이환권 작가의 조각을 소개했다. 두 번째 전시 <브리콜라주>에서는 아트 퍼니처 작품을 만드는 김은학 가구 디자이너와 직접 촬영한 건축물 사진을 해체하고 조합해 콜라주 형태의 사진 시리즈로 새로운 건축 형태를 보여주는 원범식 작가의 작품을 선보였다. 지금 열리는 전시는 황세진 작가의 개인전 <채움의 미학>이다. 모두 크기가 큰 대형 작품인 데다 색감이 워낙 현란하고 입체감이 풍부해 관객에게 전하는 힘이 있다. 물질 사회 속 욕망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각종 명품 가방, 시계, 구두, 외제 차 등을 잔뜩 걸친 여성들이 그림의 주인공이다. 특히 꽃무늬 천을 자르고 그 조각을 일일이 붙여 아크릴 물감으로 음영을 준 독특하고도 손이 많이 가는 작업 방식으로 완성한 작품은 가까이 다가가 살펴보게 하는 강렬한 오라를 내뿜는다. 한복을 입은 여인, 디즈니 애니메이션 속 백설 공주와 신데렐라도 값비싼 물건에 둘러싸여 있으나 마네킹처럼 텅 빈 눈, 즐겁지 않은 표정이다. 난무하는 화려함 속에 아름다움에 대한 허영과 욕망의 허망함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극도의 화려함으로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작품은 9월 18일까지 전시된다.
-에디터. 이지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