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한 장씩 쓴 편지의 무게와 사라짐
‘원’에 대한 상징 경이로워…’원’과 관련된 작품 계속해서 낼 것
작가 조소희 개인전 ‘일흔일곱장의 편지’ 오는 24일까지 열려

[문화뉴스 조희신 기자] 만약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편지가 어느 마지막 시점에 모르는 사람들에게 발송이 된다면 어떤 느낌일까.
설치미술가인 조소희 작가는 2003년부터 시작해 매일 1~2장의 편지를 꾸준히 써 내려갔다. 2019년도에는 만 장의 편지가 완성되면서 그만큼 시간의 무게에 도달했다. 만 장의 편지 일부를 발취해 77개장을 전시한 ‘일흔일곱장의 편지’ 개인전이 4월 24일까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비트리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개인전은 반투명한 실크 천과 얇은 종이에 타자기로 꾹꾹 눌러 담은 77개의 편지가 전시돼 있다. 편지의 내용은 일상적인 것부터 시작해서 시대적인 문제 등을 담고 있으며, 어느 마지막 시점까지 다다르면 익명의 사람들에게 보낼 예정이다.
조소희 작가는 “실재성이 극도로 과잉되면 필연적으로 사라짐에 도달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어느 순간이 다르게 되면 모든 편지는 연기처럼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갤러리 안에는 조소희 작가의 생각과 감정이 다채롭게 뒤섞여 가득 채우고 있다. 그 안에서 코로나19를 겪고 있는 현 시대에 대한 문구가 적힌 편지부터 시작해서 77개의 사소하지만 재치 있는 일상의 글들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편지를 앞으로도 반복적이면서 조용한 리듬으로 쌓아갈 조소희 작가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조소희 작가와의 인터뷰

Q자기소개 짧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각예술가 조소희입니다. 프로필에는 설치미술가라고 소개되어 있지만, 저는 제가 생각하는 주제들을 설치, 드로잉, 조각, 비디오, 퍼포먼스등의 다양한 시각적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니 시각예술가라는 표현이 좀 더 맞는 거 같네요.
Q이번 개인전인 <일흔일곱 장의 편지>에 대한 소개 부탁드려요.
이번 개인전은 2003년부터 매일 1~2장의 편지를 꾸준히 만들고 제 인생의 마지막시점에서 익명의 사람들에게 발송되도록 계획된 ‘편지-인생작업’이라는 진행적인 프로젝트의 일부 입니다. 이것을 평생에 걸쳐서 해보겠다고 다짐하게 된 건 2007년부터예요.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니14년 정도 됐네요. 2019년도에는 편지가 10,000장에 도달해서, 지난해 8월에 10,000장의 편지를 통째로 보여주는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이번 개인전 ‘일흔일곱장의 편지’에서는 그동안 쌓인 편지들 중에서 일부 문구를 발췌하고, 최근에 만든 편지들을 덧붙여 77개로 리메이크한 것들이예요.
‘편지-인생작업’ 프로젝트는 저의 작품 세계 안에서 중요한 기둥이 됩니다. 제 인생의 마지막시점까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삶과 일상의 희노애락과 애오욕, 나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단상 등을 단순하게 기록한 편지를 만드는 겁니다. 이러한 매일의 수행적인 태도를 예술 행위와 그 결과물로 드러내는 작품이지요.
.
.
(중략)
.
.

Q미술을 즐기지 못하고 어려워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미술은 어떻게 즐기면 될까요?
일반적으로 미술, 특히 현대미술은 문턱이 높다고 여기는 것 같아요. 미술작품을 머리로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미술이 지나치게 개념적으로 느껴질 때도 있죠. 작품의 정보를 아는 것보다는 작품을 그 자체로 감각하고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살아있는 모든 것에는 진동이 있는데, 그 진동 안에는 주파수가 있듯이 각각의 작품에도 고유의 주파수와 표정, 온도 같은 것이 있어요. 그러니 개념이나 의미를 먼저 찾기보다, 작품 자체가 갖고있는 특유의 감정이나 파동을 느껴볼 수 있지 않을까요? 관람자의 고유한 경험과 내적인 파동이 작품의 결이 만나는 어느 순간,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울림, 그곳으로부터 발생되는 질문 등이 생겨날 수도 있어요. 그걸 우리는 ‘감동’이라 부를 수도 있겠네요. 그 순간을 만나는 경험이 반복되면 미술을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게 될 거예요. 그러한 경험이 쌓이다 보면 미술을 좋아하게 되고, 미술을 보는 폭도 넓어지게 되겠지요.
Q시각 예술가로서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보이고 싶나요?
제 작품들의 전체적인 문맥을 통해서 ‘이 작가는 자신의 이미지에 대해 정직했다. 그것을 의심할 수 없다’는 인상이 남는다면 좋겠어요. 제가 만드는 이미지에 대해 순간순간 솔직하지 못한 작업은 설령 다른 사람에게 호평을 받더라도, 저는 정작 만족하지 못하고 왠지 부끄러운 결과물이 되고 말아요. 그러므로 저는 작가로서의 여정, 작업의 과정을 담담하고 솔직하게, 그렇게 담백하게 이어나가고 싶습니다.
글 : 조희신 / 문화뉴스 기자
원문보기 :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4732